애주가들에게 술이 인생에 주는 기쁨은 엄청납니다.
1급 발암물질이지만 알면서도 마십니다.
하지만 마시는 다음날이 문제입니다.
바로 숙취입니다.
젊었을 때는 괜찮습니다.
다음날 오전까지 즐겁습니다.
나이가 30중반 넘어가면 슬슬 힘듭니다.
본격적인 숙취가 다음날 오후로 넘어갑니다.
안 아팠던 머리가 아프고 눈도 시립니다.
숙취 해소 음료에 점점 의지합니다.
숙취 해소제를 마이는 것이 잘못되었다는 것은 아닙니다.
술이 체내에 들어왔을 때 다이어트와 연관성을 알아보고
올바른 숙취 해소법을 소개하겠습니다.
다이어트 관점에서 술 섭취의 영향

술은 칼로리가 높다고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술은 지방으로 축적되지는 않습니다.
술만 많이 마신다고 살이 찌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혈중에서 에너지 원으로 쓰일 수 있습니다.
인체는 해로운 것을 우선적으로 처리합니다.
그래서 술이 다 해독될 때까지 다른 영양소는
지방으로 축적됩니다.
바로 이 점이 술을 마시면 살찌는 이유입니다.
어렵겠지만 다이어트 중에 술을 마시면 안주나
다음날 먹는 음식을 조심해야합니다.
그 음식들이 죄다 지방으로 바뀔껍니다.
건강 관점에서의 올바른 숙취 해소법

일반적으로 숙취 다음날 갈증이 많이 생깁니다.
간혹 과일주스나 달달한 음료를 먹습니다.
몇 년 전부터 갈아만든 배가 유행하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이런 단 음료를 먹는 것이 도움이 될까요?
결로부터 얘기하면 안좋습니다. 매우...
숙취가 있는 상태에서 가장 피로한 것은 간입니다.
간은 열심히 술의 해독 작용을 합니다.
문제는 이때 과당이 많은 달달한 음료가 들어가면
간은 할 일이 더 생깁니다.
과당은 간이 처리합니다.
즉, 술을 마시고 있거나 술 깨는 와중에 들어간
과당은 간이 처리하지 못하여 죄다 지방간으로 쌓입니다.
달달한 음료의 섭취는 일종의 트릭입니다.
행복호르몬들을 분비하게 하여 숙취로 힘든
스트레스를 단기간 만이라도 해소합니다.
그리고, 숙취 음료수나 젤 형태의 해소제는
숙취에는 도움이 되겠으나 간 건강에는 해가 됩니다.
만일 숙취 해소 제품을 먹겠다면 환 형태의
설탕이나 과당이 들어있지 않는 제품을 추천하겠습니다.
올바른 숙취 방법
피해야할 음식과 도움이 되는 음식

피해야할 것과 도움되는 음식
앞에서 언급했지만 탄수화물이나
과당이 들어간 음식을 피합니다.
과일도 마찬가지 피해야 합니다.
음료수 대신 생수로 대체하고
식사할 때 밥 또한 되도록 적게 먹는게 좋습니다.
간에 도움이 되는 미네랄이나 비타민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어차피 바쁜 간에게 회복의 기회는 뒤로
미룰 것입니다.
음식으로 해독에 도움이 될 만한 것은
메티오닌이라는 성분인데 계란에 많습니다.
또한 아스피라긴산이 많이든 콩나물국을
먹어주면 도움이 도비니다.
(대부분 아는 사실...)
그리고 보통 라면을 먹는 사람이 많은데
그닥 도움이 되는 음식물은 아닙니다.
오히려 다량의 화학 첨가제는 간을 더
괴롭힙니다.
수면의 중요성

늦게까지 술을 마시느라 수면시간이 부족했다면
어쩔수 없지만, 음주후 수면을 잘 취하면
이것보다 빠른 회복을 하는 방법은 없습니다.
시간도 중요하지만 수면질이 매우 중요합니다.
보통은 집에 도착하여 바로 쓰러져서 자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숙면을 취하기 어렵습니다.
그래도 실천이 가능한 부분은 비염과 같은 코막힘이
있는 경우 비강 세척이나 스프레이제 활용입니다.
숙면을 위해서는 정상적인 호흡 상태가 필요하며, 원할한 호흡을 통해 알코올을 체외로 날릴 수 있습니다.
아무래도 코가 막히면 숙면을 방해하고 알코올 배출이 어려워 지기 때문에 반드시 호흡이 편한 상태를 만들고 수면을 취하기 바랍니다.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뼈에 좋은 음식?(우유를 마시면 과연 뼈가 튼튼해 질까..?) (0) | 2023.05.19 |
---|---|
저염식 부작용(고혈압에 저염식이 효과 있을까?) (0) | 2023.05.18 |
콜레스테롤 정상수치 (검사 수치 올바른 해석법) (0) | 2023.05.10 |
몸에 나쁜 식용유(지방)? 올바른 지방 섭취 방법(포화지방 Vs 불포화 지방 Vs 트랜스지방) (2) | 2023.05.03 |
LDL-cholesterol 이란? LDL-cholesterol 수치 낮추는 방법(치료약 스타틴X) (0) | 2023.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