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상식

원재료명 및 함량 확인 방법(건강에 안좋은 원재료?)

반응형

제품화된 식재료 및 가공식품에는 영양 정보 및 원재료명을 기재하는 것이 법적으로 의무화되어 있습니다. 자연음식이 아닌 가공된 식자재를 구매할 때 이 두 가지(원재료명 및 영양 정보)를 확인해야 건강한 식습관을 만들 수 있습니다.

 

가급적 건강을 위해서는 자연 그대로 식품을 조리하여 먹는 것은 권장하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거의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그래서 각 원재료와 영양 정보를 볼 때 중요한 체크 포인트를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영양정보 체크 포인트

영양 정보에는 6가지 항목을 표시하도록 규정되어 있습니다. 6가지는 칼로리, 나트륨, 탄수화물(당류), 지방(포화 지방, 트랜스 지방), 콜레스테롤, 단백질입니다. 

 

그런데 제품마다 무게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이 점은 주의가 필요합니다. 어떤 제품은 100g 기준으로 하거나, 1회 분을 기준으로 즉 섭취 총량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동일 선상에서 비교하면 오류가 생깁니다.

 

반드시 동일한 총량을 기준으로 꼼꼼히 따져봐야 합니다.

 

건강상 영양정보를 체크할 때 반드시 확인해야 할 것이 두 가지가 있습니다.

그것은 당류와 트랜스 지방입니다. 이 두 영양 정보는 낮을수록 좋습니다.

 

물론 당류가 낮을수록 맛이 떨어질 가능성은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 가공식품은 대중화된 맛을 기준으로 만들기 때문에 다이어트나 건강을 생각한다면 당류 함유량이 낮을 제품을 선택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트랜스 지방은 우리가 흔히 지방을 많이 먹으면 동맥경화나 고혈압을 일으키고 심장병의 원인이라고 생각하는 대표적인 나쁜 지방입니다. 특히 염증을 유발하는 물질이기 때문에 트랜스 지방이 함유된 식품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포화지방은 대체로 안전합니다.)

 

원재료 함량 체크 포인트

 

식품에 사용된 원재료는 함량이 많은 순서대로 기재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만일 다이어트 또는 당뇨 우려가 있는 사람은 원재료 표기 처음에 설탕이나 밀가루, 감자 등 고탄수화물이 표기되지 않는지 주의하기 바랍니다.

 

원재료는 단순 할수록 좋습니다. 우리가 건강을 위해 식자재의 기준점은 자연식품이기 때문에 가급적 자연재료를 제외한 재료가 안 들어간 식품이 안전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무설탕 제품이라고 표싱되어 있다고 해도 단맛을 내는 감미료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착색제나 유화제 등의 식품 첨가물이 표시되니 잘 살펴봐야 합니다.

 

특히 주의해야할 식품 첨가물은 아래와 같습니다.

 

  • 이 아닌것으로 오해받을 수 있는 첨가물로써 엿기름, 당밀, 캐러멜, 사탕수수액, 시럽(옥수수, 몰트, 라이스), 포도당, 갈락토오스, 엿당, 밀당, 원당, 자당, 덱스트린
  • 보존제로 사용되는 첨가물은 암을 유발하고 눈, 피부, 점막을 자극해 간질과 경련을 유발하는 것들로 소르빈산칼륨, 솔빈산, 프로피온산나트륨, 안식향산나트륨, 데히드로초산나트륨, 파라온식안식햐산 등
  • MSG는 논란이 많지만 우리 신경을 자극하고 나쁜 맛을 감추는 역할로써 간강하지 않는 첨가물로 이해
  • 착색제, 발색제는 암을 유발하며, 간 및 혈액 질환, 신장 장애, 아토피, 천식, 빈혈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타르 색소, 아질산나트륨, 아토산나트륨 등
  • 유화제인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는 장 점막을 상하게 하고 다른 영양소 흡수를 방해
요약 정리
구 분 내 용
양양 정보 체크 포인트
표시 정보 6가지: 칼로리, 나트륨, 탄수화물(당류), 지방(포화 지방, 트랜스 지방),   
  콜레스테롤, 단백질

동일한 총량 기준으로 함유량을 비교할 것

당과 트랜스 지방 함유량을 확인 할 것(낮을수록 좋음)
원재료 함량 체크 포인트
함량이 많은 원재료 순서로 표시 된다.

체중 관리 시 고탄수화물이 앞쪽에 표기되는지 확인 필요

원재료는 단순 할수록 좋다

주의해야할 첨가물은 아래와 같다
  
   [
당류] 엿기름, 당밀, 캐러멜, 사탕수수액, 시럽(옥수수, 몰트,
  
라이스), 포도당, 갈락토오스, 엿당, 밀당, 원당, 자당, 덱스트린

  
   [
보존재] 소르빈산칼륨, 솔빈산, 프로피온산나트륨, 안식향산나트륨,
  
데히드로초산나트륨, 파라온식안식햐산

  
   [착색제, 발색제] 타르 색소, 아질산나트륨, 아토산나트륨
반응형